top of page

조화와 공생

Harmony and Symbiosis

양숙경
Sukkyung Yang

본 연구는 AI 디자인 툴을 활용하여 한국의 세계문화유산을 디지털 아트로 재해석한 작품입니다. AI의 정밀함과 창의적 확장성을 바탕으로, 전통의 감성과 미학을 현대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석굴암과 불국사, 창덕궁, 수원 화성, 백제 미륵사지, 하회마을 등 한국의 대표 문화유산을 홀로그램, 라이트아트, 메타버스적 그래픽으로 구현하였습니다.
실무 디자이너 10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 AI 디자인 툴은 직군별로 창의성과 실무 적용 방식에서 다르게 인식되었으며, Firefly는 효율성, Midjourney는 창의성, Figma AI는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강점을 보였습니다.
이를 통해 AI는 단순한 보조 수단이 아닌, 디자이너의 사고를 확장하고 새로운 예술적 해석을 이끌어내는 창조적 매개체로 진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AI와 인간, 기술과 감성이 조화롭게 공생할 때, 우리의 문화유산은 시간을 넘어 새롭게, 그리고 영원히 빛날 것입니다.

"Harmony and Symbiosis" digitally reinterprets Korea's iconic cultural heritage using AI design tools.
The precision and creativity of AI are utilized to modernize traditional aesthetics, and research by professional designers illuminates the strengths of each tool. AI evolves from a simple support role to a creative medium that guides artistic interpretation, demonstrating that when humans and technology coexist harmoniously, cultural heritage can shine for eternity.

Contact

양숙경
Sukkyung Yang
@_sk.yang

IDAS 2025
Graduate Degree Show

IRREPLACEABLE

ADDRESS

서울 마포구 독막로 101 1층, 2층

TEL

02-320-1114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