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위로 디자인 관점의 컴포트 푸드 서비스 인카운터 경험 연구

Comfort Food Service Encounter Experience from a Consolation Design Perspective

안태경
Taegyeong An

디지털화와 비대면 문화의 확산은 개인의 사회적 연결 약화와 정서적 공백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음식은 단순한 섭취 행위를 넘어 ‘의미 있는 경험’의 매개체로 주목받으며, 특히 컴포트 푸드(Comfort Food)는 기억과 관계를 환기하는 정서적 상징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이를 ‘위로 디자인(Consolation Design)’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사용자가 컴포트 푸드를 경험하는 인카운터(Encounter) 단계에서 일상적 행위가 ‘위로’로 전환되는 과정을 사례 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감각적 상징화(Symbolisation)와 행위의 리추얼화(Ritualisation)가 사용자 경험을 의미화하며, 컴포트 푸드를 감정의 의미화를 통한 ‘경험의 낭만화(Romanticisation of Experience)’로 확장시키는 핵심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감정이 의미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계하는 ‘위로 디자인’의 개념적 틀을 제안한다.

The spread of digitalisation and contactless culture has weakened social bonds and created emotional voids. Food has thus emerged as a medium for meaningful experience, with comfort food serving as an emotional symbol evoking memory and relationships. Through the lens of ‘Consolation Design’, this study analyses how ordinary acts during encounters transform into moments of consolation and contribute to the ‘romanticisation of experience’.

Contact

안태경
Taegyeong An
@tegyeeng

IDAS 2025
Graduate Degree Show

IRREPLACEABLE

ADDRESS

서울 마포구 독막로 101 1층, 2층

TEL

02-320-1114

bottom of page